-
17일부터 20일까지 영남대 경산캠퍼스 인도팀, 중국팀 등 국내외 22개大 39개 팀 출전 대구과학고 ‘STEAM’팀, 전기자동차 5개팀 특별 참가 [2013-7-20] 20일 영남대 정수장 뒷산 4km 오프로드 트랙에서 내구레이스가 펼쳐지고 있다 영남대(총장 노석균)가 ‘2013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Baja SAE KOREA at Yeungnam University 2013)를 17일부터 20일까지 경산캠퍼스에서 개최했다. 18회째를 맞이한 올해 대회에는 인도 방갈로르기술원(Bangalore Institute of Technology, BIT)과 중국 화중이공대학(華中理工大學, SCUT) 참가팀을 비롯해 국내외 22개 대학(교)에서 39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 첫날인 17일에는 오후 2시부터 차량 입고, 논문 발표, 자원봉사자 교육, 기술세미나 등이 밤늦도록 진행됐으며, 둘째 날에는 참가자 등록에 이어 차량 디자인의 독창성, 안전성, 정비용이성, 대량생산성 등을 겨루는 정적검사(static test, 오른쪽 사진)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진행됐다. 19일 개막식에 이어 경산시내로 카퍼레이드를 하러 출발하는 참가차량들 셋째 날인 19일에는 오전 9시 대운동장에서 출전팀 전원과 자원봉사자, 후원기관 등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적인 개회식을 가진 데 이어 카퍼레이드가 경산 시내 일원에서 펼쳐진다. 카퍼레이드를 마친 자동차들은 다시 영남대 대운동장에 집결해 오후 7시까지 가속력, 최고속도, 견인력, 바위타기 등 동적검사(dynamic test)를 받았다. 마지막 날인 20일에는 대회의 하이라이트인 내구레이스(endurance race)가 영남대 정수장 뒷산 4km 오프로드 트랙에서 210분간 펼쳐졌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대구과학고등학교 송영운(16)군 등 2학년생 8명으로 구성된 ‘STEAM'팀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특별 참가하며, 전기자동차 5팀(영남대 2팀, 한밭대, 국민대, 한국기술교육대)이 참가해 볼거리와 재미를 더했다. 18년째 대회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경기위원장 황평 교수(기계공학부)는 “1996년 국내 최초로 대학생들이 만든 자동차로 경연을 펼치는 대회를 연 이래 2001년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승인을 받은 국제대회로 승격함으로써 이제는 전 세계 자동차공학도들의 축제가 되고 있다”면서 “대회 참가를 위해 약 1년 동안 자동차설계에서 제작까지 직접 자신들의 손으로 진행하고, 사업계획서를 써서 후원사를 구하러 다니는 과정을 통해 강의실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 적용해보고 경영마인드까지 터득하게 되는 ‘산교육’의 현장”이라고 자랑했다. 대회 결과, 종합우승은 한국기술교육대 자연인A팀이 차지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우승기, 트로피를 받았다. 준우승은 경상대 Car-Tech팀, 종합 3위는 영남대 천마DM팀이 각각 차지했다. 대회결과는 SAE 공식홈페이지(www.sae.org)와 출판물을 통해 전 세계에 공표된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458
-
국내 최초 美SAE 공인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4.3대 1 경쟁 뚫고 산학협동재단 지원 확보 제18회 대회, 7월 17일부터 4일간 개최 [2013-5-7] 18년 전통의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2013 SAE BAJA KOREA at Yeungnam University)가 이공계 위기 극복을 위해 산학협동재단에서 실시하는 ‘이공계 대학생 경진대회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최근 산학협동재단(이사장 한덕수, 한국무역협회 회장)은 ‘2013년도 이공계 대학생 경진대회 지원사업’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총 39개 대회가 신청해 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가운데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등 전국 규모의 9개 경진대회가 최종 선정됐다. 이들 대회에는 총 1억6천만 원의 대회경비가 지원된다.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는 총 3천만 원을 지원받는다. 이에 따라 영남대는 오는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영남대 경산캠퍼스 일원에서 제18회 대회를 개최한다. 올해 대회에는 인도, 파키스탄, 멕시코에서 3개 팀 등 국내외에서 약 50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며, 나흘간 논문 및 디자인 심사, 정적 검사(static test), 동적 검사(dynamic test), 내구력 테스트(endurance test) 등을 통해 스스로 만든 차량의 기량을 선보인다. 1996년 국내 최초의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로 출발한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는 2001년 국내 최초로 미국 SAE(자동차공학회)의 인증을 받아 국제대회로 승격했다. 이에 따라 대회는 미 SAE 규정에 따라 치러지며, 결과는 SAE 공식홈페이지(www.sae.org)와 출판물을 통해 전 세계에 공표된다. 종합우승팀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상금 400만원, 우승기, 트로피까지 주어진다. 지난해까지 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총 1,408개 팀 2만8,820명. 그 가운데 중국 연변과기대, 미국 피츠버그주립대, 미국 미시건공대, 이란 IUT, 인도 BIT 등 외국대학팀들도 참가해 대회 열기를 더했다. 지난해에는 대회 사상 최초로 여대생만으로 구성된 팀이 정식 출전해 화제를 모았으며, 대구과학고등학교 팀도 시범 참가해 예비 이공학도들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쉘, 한국파워트레인, 헨켈, 세원정공, 아진, S&T, 근우테크 등 자동차 관련기업들의 지원도 매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대해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경기위원장 황평(58, 기계공학부) 교수는 “그동안 수만 명의 자동차공학도들이 대회를 통해 책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기업에서 원하는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능력으로 전환시키는 경험을 쌓았고, 직접 후원사를 찾아다니고 경비보고서를 만들면서 경제·경영마인드도 기른 덕분에 졸업 후 자동차산업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교육적 가치를 최우선하면서도 실질적인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는 국제대회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470
-
도지사표창 받은 원자력트랙전문인력양성센터 김재근 교수‧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 윤대길 팀장 융‧복합 원자력 고급두뇌 양성의 수월성 공인 [2012-12-26] 원자력정책추진 유공자로 도지사표창을 받은 김재근 교수(좌)와 윤대길 씨 영남대(총장 이효수)가 ‘융․복합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의 수월성을 인정받았다.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경상북도 원자력정책추진 유공자로 선정돼 도지사 표창을 받은 것이다. 경상북도는 최근 국내 최고의 원전 인프라를 갖춘 동해안에 세계적인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한 대학 및 관련기관 유공자로 영남대와 한국방사선폐기물관리공단 소속 4명을 선정‧시상했다. 영남대에서는 원자력트랙전문인력양성센터 김재근 연구교수(63)와 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 ‘Nuclear Power'팀을 이끈 윤대길(24, 기계공학 3년)씨가 각각 경상북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한국전력기술(주)에서 30여 년간 종사하다 2011년 9월 영남대로 부임한 김 교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원자력발전소 계통’ 및 ‘원자력 재료’ 등의 강의를 통해 경상북도 원자력클러스터사업의 핵심인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했으며, ‘Nuclear Power’팀 지도교수로서 울진군 소재 죽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특강 및 영덕군청 방문 등을 통해 지역민의 원자력수용성 증대에 기여한 공로다. 울진고등학교 출신으로 현재 원자력공학연계전공을 복수전공하고 있는 윤 씨는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Nuclear Power'팀을 이끌면서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활용한 SNS 홍보, ‘경상북도청과 영남대 원자력에너지 서포터즈의 토크콘서트’, 경산고와 죽변고 학생 800명 대상 ‘원자력 지식나눔행사’ 추진, 동대구역과 반월당, 중앙로 등에서의 ‘원자력 인식 설문조사’ 등을 통해 지역민의 원자력이해 향상과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앞서 지난 7월에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에서 주최한 '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 상반기 활동평가회 최우수상, 원자력에너지 슬로건 공모전 1등의 영예를 차지하기도 했다. 한편 영남대는 2011학년도 1학기부터 융‧복합 연계전공으로 원자력공학전공을 신설, 기계공학부(기계시스템전공, 기계설계 전공, 첨단기계전공)를 주관학부로 건설시스템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부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성과에 대해 김 교수는 "'Nuclear Power'팀을 비롯해 원자력연계전공 학생들이 국내 원자력산업의 차세대 핵심인력이 될 것이다. 원자력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판단과 정보를 바탕으로 활발한 홍보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87
-
중앙도서관 옆 ‘송암 이종우’ 흉상 건립, 10년간 장학금 등 10억1,300만원 모교 기탁한 뜻 기려 기탁자 예우하는 자랑스런 전통 수립 [2012-11-8] “저는 영남대 졸업장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영남대는 제게 더 소중합니다. 모교와 후배들이 잘 되어야 제 졸업장의 가치가 더 빛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기부한 것인데 이렇게 모교에서 선물까지 주시니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영남대 기계공학과 64학번 출신인 송암(松岩) 이종우 (주)한국호머 회장(74)은 8일 오후 모교로부터 큰 선물을 받았다. 대학의 상징인 중앙도서관 옆 잔디광장에 자신의 흉상이 세워진 것. 인자한 이 회장의 웃는 모습 그대로인 33×24×60cm 크기 브론즈 흉상 아래에는 <명심보감> 입교 편에 실린 “春若不耕이면 秋無所望이라”(만약 봄에 밭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다)라는 경구를 시작으로 아낌없이 거액을 모교와 후배들을 위해 기탁한 이 회장의 마음을 기리는 글이 새겨져 있다. 부인 신광순 씨와 함께 흉상제막식에 참가한 이 회장은 60년 지기 죽마고우를 비롯해 윤상현 재경총동창회장과 서석홍 전 재경총동창회장 등 동창회 관계자, 이효수 영남대 총장 및 보직교수와 기계공학부 교수들, 그리고 이 회장으로부터 장학금을 받은 학생대표 등 60여명의 참석자들이 보낸 존경과 감사의 박수에 잠시 울먹이며 감격해했다. 1938년 일본에서 태어난 이 회장은 1945년 광복 이후 선친의 고향인 경북 김천으로 귀국했지만, 연이어 발발한 한국전쟁을 겪으며 힘들고 가난한 어린시절을 보냈다. 어려운 가정환경 탓에 정규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배움에 대한 식지않은 열정으로 공군 제대 후 군무원으로 근무하던 1964년, 27세의 늦은 나이로 영남대 기계공학과에 입학했다. 주경야독으로 4년 만에 학업을 마친 이 회장은 1977년 (주)한국호머를 설립, ‘기술혁신, 노사화합, 사회공익우선’의 경영철학을 몸소 실천하고 있으며, 자신처럼 학구열은 있지만 가정형편 때문에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후배들을 돕겠다는 결심으로 2002년 ‘송암장학회’를 설립했다. 그리고 현재까지 10억1,300만원에 달하는 거액을 영남대에 기탁했다. 영남대는 이 회장의 뜻에 따라 2003년 1학기부터 매년 기계공학부 2학년에 진학하는 학생 1~2명을 선발해 졸업할 때까지 전면장학금을 주고 있는데, 그 수가 벌써 10명을 훌쩍 넘어섰다. 송암장학생을 대표해 이날 행사에 참석한 기계공학부 4학년 이기범(26)씨는 “항상 ‘내게는 쓸 만큼만 있으면 된다’면서 우리들에게 아낌없이 베푸시는 선배님을 보면서 나도 나중에 후배들을 위해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한다”면서 “아무 상관도 없던 후배들에게 선뜻 큰 도움을 주시고, 늘 메일이나 전화로 안부를 묻고 아버지의 마음으로 챙겨주시는 선배님의 뜻에 보답하기 위해 더욱 열심히 살겠다”며 감사했다. 이효수 총장도 이날 인사말에서 “선배님의 고귀한 뜻을 후배들이 영원히 기억하고 따를 수 있도록 오늘 이렇게 흉상을 세워 기념하게 됐다”고 취지를 밝히면서 “우리대학의 심장부인 중앙도서관 주변이 대학과 후학을 위해 큰 도움을 주신 분들의 뜻을 기리고 새기는 기념비적 공간이 되어 자랑스러운 전통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영남대는 지난해 9월 평생 모은 6억4천만 원을 장학금으로 기탁한 故 손영자 여사의 흉상을 지난 7월 6일 건립한 바 있으며, 지난 8월 선친의 이름으로 100만 달러를 기탁한 재미동문 이돈 Active U.S.A Inc 회장의 뜻을 기려 10월 4일에는 선친 월산 이동호 선생‧이홍식 여사의 흉상도 건립했다. 현재 영남대 중앙도서관 북편 잔디광장에는 월산 이동호 선생‧이홍식 여사의 흉상, 손영자 여사, 이종우 회장의 흉상이 나란히 서있다. 이종우 회장 부부가 송암장학생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가운데가 신광순 여사와 이종우 회장)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462
-
한국파워트레인(주) 3억 투자, 기계공학부에 부설기술연구소 설립 글로벌 경쟁력 갖춘 엔지니어 양성 위한 산․학 협력 전초기지 확보 [2012-10-25] 한국파워트레인-영남대 기술연구소 개소식 (이효수 총장(왼쪽)과 주인식 대표이사가 산학협력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전륜 9단 자동변속기용 토크컨버터를 개발한 토종 업체, 한국파워트레인(주)의 국내 최초․유일 ‘토크컨버터 CAD 도서관’이 영남대에서 문을 열었다. 자동차변속기 시스템의 핵심 기능품인 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를 컴퓨터를 활용해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하는 연구개발 전용공간이 영남대에 들어선 것이다. 영남대(총장 이효수)는 25일 오전, 기계관 266호에서 주인식 한국파워트레인(주)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파워트레인-영남대 기술연구소’(이하 ‘기술연구소’) 오픈식을 가졌다. 24평 규모에 15대의 최첨단 CAD 장비와 한국파워트레인에서 독자 개발한 3종의 토크컨버터가 전시되어 있는 기술연구소는 앞으로 CAD 실습, 대학원 강의, 세미나 등 학술적 용도뿐만 아니라 한국파워트레인과 영남대의 공동개발프로젝트 수행, 공동 워크숍 개최, 현장채용 등 산학협력의 공간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국파워트레인은 이미 3억 원을 투자했고, 추가로 2억 원을 더 투자할 계획이다. 주인식 한국파워트레인(주) 대표이사(62)는 “영남대와 한국파워트레인은 지역에 기반해 세계로 활동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닮은 점이 많다.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고 그들에게 세계무대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대학과 기업이 해야 할 사회적 책무 아니겠느냐”라며 “현재 영남대, 서울대, 고려대, 서강대 등 전국 8개 대학과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운영 중인데, 영남대에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한 만큼 우리지역, 나아가 대한민국의 자동차산업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엔지니어가 많이 배출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영남대 기계공학부 사종엽 교수와 공동으로 기술연구소장을 맡은 장재덕(54) 한국파워트레인(주) 부사장도 “본사 기술연구소와 영남대 기술연구소가 R&D에 손을 맞잡으면, 우리가 세계 최초로 만든 전륜 9단 자동변속기용 토크컨버터 기술을 비롯해 55종의 특허기술과 현재 출원 중인 48건의 신기술 등이 한층 더 빠른 속도로 업그레이드될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의 신기술 개발도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면서 “영남대 기술연구소를 핵심인력 양성 및 산학협력의 전초기지로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한국파워트레인(주)은 매년 20~30명의 영남대 기계공학부 졸업생들을 우선 채용해 세계시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이효수 영남대 총장도 “‘글로컬 이니셔티브’(Glocal Initiative)가 바로 이런 것”이라고 화답하면서 “지역거점 대학과 기업이 손잡아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하는 성공모델을 보여주자”며 산학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로 감사를 대신했다. 한편 한국파워트레인(주)는 국내 최초의 토크컨버터 전문생산기업으로, 지난 10년간 총 34종의 소프트웨어를 독자 개발했으며, 이 가운데 16종이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에 등록‧관리되고 있다. 토크컨버터는 세계적으로 5개미만의 기업만이 기술을 보유한 고도의 기술집약적 제품이다. 그러나 한국파워트레인은 산학연 협력체계 및 디지털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해 100년 이상의 노하우를 보유한 해외경쟁기업들을 압도할 수 있는 독보적 기술력을 10년 만에 확보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토크컨버터의 수입대체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국내 완성차의 성능 개발 및 한국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최근 개발한 6단 자동변속기용 토크컨버터의 경우, ‘슬립록업’이라는 신기술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연비와 동력성능을 달성, 신기술인증(NET)과 신제품인증(NEP)을 획득했으며 ‘장영실상’도 2회나 수상했다. 또한 올해 7월 세계 최초로 전륜9속 자동변속기용 토크컨버터를 개발해 2013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BMW, 벤츠, 혼다 등 세계 굴지의 완성차 업체에 자동변속기를 공급하는 독일 기업 ZF에 향후 8년간 280만대, 총 1조 원 어치를 공급하게 된다. 기존사양 대비 20%의 연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신기술로 세계무대를 석권하게 된 것이다. 그 결과 매년 3천억 원의 매출을 올려 누적생산액 1조 6천억 원, 수입대체효과 1조원을 달성해 ‘1억불 수출탑’을 수상했으며, 지역인재 채용우대로 450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했다. 그밖에도 ‘기술경영인상’, ‘상생협력기술개발대상’, ‘노사화합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복지센터지원, 학비지원, 봉사활동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솔선수범하고 있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66
-
‘해바라기1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 및 상금 300만원 획득 정인지·문지환(기계4), 김민수(전자4) [2012-9-12] 인공위성을 직접 제작하며 기술력, 임무수행능력 등을 겨루는 ‘제1회 캔위성 경연대회’에서 영남대 팀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부상으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과 상금 300만원도 거머쥐었다. 제1회 캔위성 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영남대 YUSA팀(왼쪽부터 문지환, 정인지, 김민수 씨) ‘캔위성’(Cansat)은 위성 구성요소를 단순화해 음료수 캔 형상 내부에 구현한 모사 위성으로, 열기구를 이용해 소형 과학로켓을 상공 수백 미터 내에 낙하시키면 위성처럼 사전 계획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공동 주최해 국내 최초로 열린 대회에는 초ㆍ중등부 90팀, 고교부 57팀, 대학부 14팀이 참가했다. 그 가운데 고교부 및 대학부에서는 캔위성 기획·개발, 발표 평가 등을 거쳐 본선에 진출할 각 5팀이 선정됐으며, 본선 대회는 지난달 9일 세종시에서 열렸다. 직접 제작한 캔위성으로 창의성, 개발성과 등을 경연방식으로 겨룬 결과 최고의 영예를 차지한 주인공은 바로 영남대 ‘YUSA’팀. 기계공학부 4학년 정인지(25), 문지환(24)씨, 그리고 전자공학과 4학년 김민수(24) 씨로 구성된 ‘YUSA’팀은 이번 대회에서 GPS 위치정보 파악, 위성의 자세, 지상 촬영 영상 정보 등의 송수신과 태양의 조도를 측정해 가장 높은 조도 측정치를 얻어내는 특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캔위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6일 오전 서울 정부중앙청사 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캔위성 경연대회' 시상식에서 이주호 교과부 장관이 영남대 ‘YUSA’팀에게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있다 팀장 정인지 씨는 “처음에는 학교에서 배운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대회 도전에만 의의를 뒀었는데, 준비과정에서 지도교수님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해결해가며 더욱 자신감이 생겼다”며 “앞으로 다학제간 전공지식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인공위성 및 우주산업 발전에 일조하고 싶다”는 수상소감을 밝혔다. 멤버 김민수 씨는 캔위성 회로 설계와 프로그래밍을, 문지환 씨는 낙하산 설계 및 제작을 각각 맡았다. “태양을 항상 바라보도록 Cansat의 이름을 ‘해바라기’라고 지었는데, 앞으로 더 많은 영남대 학생들이 참여해 제2, 제3의 해바라기가 탄생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활짝 웃었다. 이들을 지도한 임병덕 교수(기계공학부,57)는 “지난 5월부터 유례없었던 무더위 속에서도 예정된 일정대로 실험을 감행했을 정도로 최선을 다한 세 사람이 결실을 이루어 기쁘다”면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가한 대회인 만큼 앞으로 인공위성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이 대회에 참가한다면 계속해서 지도할 계획”이라며 참된 스승의 면모를 보였다. 한편 이번 대회 시상식은 지난 6일 오전 서울 정부중앙청사 교육과학기술부 회의실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장, 대회관계자, 수상자 학부모 등 약 50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65
-
“원자력에너지, 제대로 알리겠습니다.” 영남대 ‘Nuclear Power’팀, 최우수 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 선정 원자력공학 연계전공 저력 재확인 [2012-7-17] 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 상반기 평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Nuclear Power팀장 윤대길(좌)씨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김대희 전무이사 영남대 ‘Nuclear Power’팀(팀장 윤대길 외 이 최근 한국원자력문화재단에서 주최한 ‘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 2012학년도 상반기 활동평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N.E.O’(Nuclear Energy Obligees)로 일컬어지는 원자력에너지서포터즈는 전국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선발돼 원자력에너지의 객관적 정보 전달과 올바른 이해 증진을 위한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올해도 전국 60여 개 대학 총 96개 팀이 도전해 최종적으로 총 26개 팀이 선발됐으며, 지난 4월 발대식을 갖고 오는 11월까지 총 6개월 동안 서포터즈 활동을 펼친다. 그 상반기 활동에 대한 평가회가 최근 경주 코오롱 호텔에서 1박 2일간 열렸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및 주요 관계자, 서포터즈 대학생 등 총 1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이날 평가회에서 영남대 'Nuclear Power' 팀은 최우수상의 영예를 차지했다. 부상으로 상금 100만원도 받았다. 이밖에도 최우수상을 공동 수상한 인천대 팀을 비롯해, 우수 2팀, 장려 3팀 등 총 7개 팀이 최종 입상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운영국 관계자는 “영남대 Nuclear Power팀은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활용한 SNS 활동에서 단연 최고점을 받았다. 더욱이 대학축제 기간에 원자력에너지 홍보, 원자력에너지 찬반토론회 개최 등 주요 활동도 성실하고 우수하게 수행했다. 원자력에너지 슬로건 공모전에서도 1등을 하는 등 심사위원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고 최우수 선정 이유를 밝혔다. 현재 원자력공학을 복수전공하고 있는 ‘Nuclear Power’ 팀장 윤대길(23, 기계공학부 3년)씨는 “울진 등 주요 원전과 관련기관 등지를 견학하며 개인적으로도 올바른 전공지식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는 소감과 함께 “청정에너지인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 인식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반기에도 성실히 활동을 수행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들을 지도한 홍승열(58) 기계공학부 교수는 “원자력 전공자와 비전공자 20여 명으로 구성된 ‘Nuclear Power’팀이 앞으로 원자력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판단과 정보를 바탕으로 활발한 홍보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것”이라며 국내 원자력산업의 차세대 핵심인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영남대는 2011학년도 1학기부터 융․복합 연계전공으로 원자력공학전공을 신설했다. 기계공학부(기계시스템전공, 기계설계 전공, 첨단기계전공)를 주관학부로 건설시스템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부가 참여하고 있다. 연계전공 교과목 35학점 이상, 특히 전공핵심과목 16학점 이상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연계전공 이수 학생들에게는 졸업 시 주전공과 원자력공학전공의 공학사 학위 2개가 동시에 수여된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32
-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대회 사상 최초 여성팀 출전 8월 1일부터 4일까지, 대구과학고 1학년팀, 전기자동차팀 등 볼거리 다양 [2012-7-31] “여자라서 자동차에 무관심하거나 잘 모를 거라는 생각은 편견입니다. 운전은 물론이고 자동차 제작, 정비, 레이싱까지 전 과정을 여자들만의 손으로 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겠습니다. 새로운 길을 여는 거죠!” 영남대 기계공학부 4학년에 재학 중인 이효진(21, 사진에서 드라이버)씨. 그는 대학졸업반의 마지막 여름을 취업 준비 대신 자동차대회에 바치기로 했다. 작열하는 한여름의 열기만큼이나 뜨거운 자동차에 대한 열정으로 뭉친 여학우들을 이끌고 8월 1일부터 4일까지 영남대 경산캠퍼스 일원에서 열리는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에 출전하는 것. 1996년 제1회 대회가 열린 이래 16년 만에 ‘최초 여성팀 출전’이라는 기록을 세운 주인공은 바로 영남대 기계공학부 여학생 5명으로 구성된 ‘CMDM'팀(사진). 팀원 모두가 영남대 자작자동차동아리 ‘천마DM’ 출신으로,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3년 반 동안 동아리에서 갈고 닦은 실력을 바탕으로 4학년 이효진 씨는 팀장과 서스펜션 파트를 책임지고, 3학년 이주희(22), 안수경(20)씨는 각각 브레이크 파트와 파워트레인 파트의 팀장을 맡았다. 특히 이주희 씨는 허리디스크 수술 후 재활 훈련 중이지만, 포기할 수 없는 자동차에 대한 열정으로 팀에 합류했다. 그리고 1학년 임은주(19)씨와 박보슬(19)씨는 각각 엔진 파트와 파워트레인 파트 및 SNS 홍보와 촬영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 연말부터 반 년 남짓한 준비기간 동안 직접 설계, 제작, 시운전, 정비까지. 그야말로 여학생들만의 손에서 탄생한 ’자작‘(自作)자동차 1호의 이름은 ‘트라이엄프W’. 대회 사상 1호 여성팀의 출전 자체가 우승보다 더 값진 승리임을 자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1당 100’의 정신으로 팀원의 수적 열세를 만회하겠다는 CMDM팀은 “대회 사상 최초의 여성팀으로서의 책임감과 ‘할 수 있다’, ‘해보자’는 의지로 대회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당찬 각오를 밝혔다. 한편 ‘2012 영남대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Baja SAE KOREA at Yeungnam University 2012, 경기위원장 황평 기계공학부 교수)에는 34개 대학에서 42개 팀이 출전, 125cc 엔진의 자작자동차로 8월 1일부터 4일까지 열전을 펼친다. 대회 첫날에는 오후 2시부터 차량 입고, 논문 발표, 자원봉사자 교육, 기술세미나 등이 밤늦도록 진행된다. 둘째날에는 오전 9시부터 참가자 등록에 이어 차량 디자인의 독창성, 안전성, 정비용이성, 대량생산성 등을 겨루는 정적검사(static test)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진행된다. 셋째 날에는 오전 9시 대운동장에서 공식적인 개회식이 열리는 데 이어 가속력, 최고속도, 견인력, 바위타기 등을 겨루는 동적검사(dynamic test)가 오후 7시까지 진행되며, 대회마지막 날에는 영남대 정수장 뒷산 일원에서 내구레이스(endurance race)가 4km 오프로드 트랙에서 210분 동안 펼쳐진다. 종합우승팀에는 지식경제부 장관상과 우승기, 트로피가 주어진다. 대회결과는 SAE 공식홈페이지(www.sae.org)와 출판물을 통해 전 세계에 공표된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번외로 대구과학고등학교 송영운(15)군 등 1학년생 8명으로 구성된 ‘STEAM'팀이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연구비지원으로 참가하며, 영남대 기계공학부 전기자동차팀도 2팀이 참가해 볼거리와 재미를 더할 예정이다. 자동차 설계의 안정성과 디자인의 참신성 등을 테스트하는 정적검사(위)와 등반력, 순간가속도 등을 테스트 하는 Rock Crawling 장면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34
-
‘2012 쉘 에코 마라톤 대회’, 7월 4~7일 말레이시아 세팡 F1 경기장 18개국 141팀 참가, 최고 연비 효율 및 설계 독창성 경연 [2012-6-19] 쉘 에코 마라톤 대회에 한국 국가대표로 출전하는 YUSAE 팀과 황평 지도교수(우측에서 두 번째), 후원사 관계자들(우측 다섯 번째가 하종환 한국쉘석유 사장) "가솔린 1ℓ당 100km 주행 연비 달성을 목표로 지난 반 년 동안 흘린 땀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좋은 성적 거두고 오겠습니다.” 영남대 기계공학부 자작자동차동아리 ‘YUSAE’(유새, 지도교수 황평)가 국제 친환경자동차 경주대회에 한국 최초로 도전장을 던진다. YUSAE 팀은 18일 오후 경북 경산시 영남대 기계관에서 ‘2012 쉘 에코 마라톤 자동차 경주대회(Shell Eco-marathon Asia 2012)’ 출정식을 가졌다. 한국쉘석유㈜ 하종환 사장과 장록주 이사, 쉘퍼시픽 엔터프라이시스(주), ㈜넥센타이어, ㈜포스코 등 후원사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열린 출정식은 YUSAE 팀 소개 및 차량 설명, 후원사 로고 스티커 부착 행사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쉘 에코 마라톤 자동차 경주대회’는 쉘(Shell International Petroleum Company)사에서 매년 3개 대륙, 만 16세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자동차 경주대회다. 올해 아시아 태평양지역 행사는 말레이시아 세팡 F1경기장에서 7월 4일부터 7일까지 개최되며, 18개국 141개 팀이 출전한다. 대회는 프로토타입(prototype, 최저 마찰과 최고 효율을 낼 수 있는 차량)과 어반 타입(urban type, 다양한 연료별로 최고의 연비 효율로 작동되는 차량)의 2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각 부문 별로 최고 연비 효율과 독창적 설계를 제시한 팀을 선발한다. 총 8명의 영남대 기계공학부생들로 구성된 YUSAE 팀은 어반 타입에 참가한다. 지난해 11월 한국 대표로 선발된 이래 자동차 설계 및 제작, 정비, 시운전 등 모든 과정을 스스로의 힘으로 해냈다. 특히 기존의 150cc 가솔린엔진을 제어하는 ECU(Engine Control Unit)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새로 매핑(mapping)하고, 공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차체를 디자인하고 경량화도 물론 극대화했다. 메인 스폰서인 쉘퍼시픽엔터프라이시스㈜와 한국쉘석유㈜가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음은 물론 ㈜넥센타이어가 타이어 설계와 제작 지원을, ㈜포스코가 차량 소재에 대한 선정과 자문을 지원했다. 7월 1일 출국을 앞두고 막바지 점검에 한창인 YUSAE 팀장 김민조(23, 기계공학부3년)씨는 “학업과 대회 출전을 준비하느라 많이 힘들었지만, ‘자동차강국 코리아’의 국가대표라는 자긍심을 매순간 되새기고 또 되새겼다”면서 “20년 넘게 쌓아온 YUSAE의 전통과 저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오겠다”고 다짐했다. 출정식에 직접 참가한 하종환 한국쉘석유(주) 사장은 “쉘은 1984년부터 에코 마라톤 자동차 경주대회를 개최해왔는데, 비로소 한국도 참가하게 돼 무척 반갑다”면서 “동문 선배로서 이번 대회에 한국의 국가대표로 참가하는 영남대 YUSAE 팀이 좋은 성적을 거둬 국제무대에서 한국 대학생들의 실력을 제대로 한 번 보여주길 바라지만, 무엇보다도 안전과 건강에도 각별히 신경쓰라”고 당부했다. 하 사장은 영남대 법대 71학번이다. 한편 YUSAE 팀은 1991년 기계공학부 자작자동차동아리로 결성됐으며, 1997년에는 국내 최초로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공인을 획득했다. 2000년부터 미국, 일본 등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해온 전통과 저력을 바탕으로, 2004년에는 포뮬러 대회용 차량제작을 첫 시도, 영국 대회에 처녀 출전해 80개 참가팀 중 종합성적 41위를 거줬다. 이어 2007년과 2008년 영국 대회에서도 110여 개 참가팀 중 종합순위 40위권에 드는 등 국제적으로도 실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2009년 말에는 KAIST 주최 ‘전국 대학생 온라인전기자동차 아이디어 경진대회’에 참가해 ‘대상’을 차지하는 등 친환경자동차 부문에서도 ‘국내 최고’임을 공인받았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16
-
'준텍 주식회사', 대학 보유기술 활용 신제품 개발 중소기업청 ‘직접사업화 지원사업’ 선정, 3년간 10억 원 국비 지원 받아 [2012-6-4] 영남대(총장 이효수)가 지역기업과 손잡은 공동법인을 설립, 산학협력의 성공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4일 영남대에 따르면, 자동차용 프레스 부품업체인 아진산업(대표 서중호)과 영남대 산학협력단이 공동출자한 ‘준텍(주)’(JOON TEC Inc.)를 설립, 영남대가 개발한 신기술을 활용해 아진산업이 신제품을 제작하는 산학협력 시스템을 본격 가동한다. 준텍(주)는 성형해석과 금형개발등 성형부품산업의 기술서비스 제공업체로 2020년 5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준텍(주)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3년간 최대 10억 원 지원도 확보했다. 영남대가 독자 개발한 신 기술 ‘성형공정의 최적화와 원가절감을 위한 Stamping 금형기술의 개발' 이 중소기업청의 ‘대학∙연구기관 보유기술 직접사업화 지원사업’에 선정된 덕분이다. 영남대-아진산업 공동 법인 '준텍 주식회사' 설립의 주역들 (왼쪽부터 양민아 씨, 이승엽 씨, 심현보 교수, 이원찬 아진산업 총무이사) 이 기술은 경험에 의존한 기존의 금형개발방식 대신 성형해석에 기초해 성형공법의 개선을 통해 투입되는 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소재 비용이 제품 원가의 70%에 이르는 프레스 산업의 특성을 감안, 소재의 최적 투입량을 산출해내고 품질을 표준화시킴으로써 손실 소재의 과다 사용과 제품 불량을 최소화해주는 공법으로 △소재유입량 최적화와 개발납기일 단축 △성형공정 최적화를 통한 변수 제거 △금형개발기간 단축 및 품질 표준화를 통한 불량률 감소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기술 개발 연구를 직접 수행한 영남대 기계공학부 4학년 이승엽(25)씨는 “자동차 부품 제조공장을 하신 아버지 덕분에 어릴 때부터 조립·설계 등에 관심이 많았던 참에 지난해 공학과제 주제를 보고 흥미를 느껴 팀원 5명과 함께 참여하게 됐다”면서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지만, 공장견학도 하고 현장관계자들도 만나면서 강의실에서 배울 수 없는 것들을 많이 배웠고, 특히 교수님이 제시한 해결방법을 적용시켜 어려운 과제를 성공했을 때 정말 뿌듯했다. 관심있는 분야에서 하고 싶은 일과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았다는 것에 더 큰 보람과 성취감을 느낀다”며 활짝 웃었다. 프로젝트팀 중 홍일점인 같은 과 4학년 양민아(21)씨도 “강의실에서 배운 이론지식을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도 들으며 연구한 결과가 회사설립으로까지 이어질 줄은 몰랐다”며 기뻐했다. 준텍(주)의 기술개발이사(CTO)를 맡은 심현보 영남대 교수(53, 기계공학부)는 “2007년부터 아진산업과 활발한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해왔고, 지난해 8월부터는 ‘자동차 Wheel Housing 성형공정개선’이라는 공학과제를 학부생 5명과 함께 수행했다. 그 결과 불량률과 소재사용을 최소화하는 해답을 찾아냈다”면서 “‘최적화’를 목표로 끝까지 파고들며, 포기하지 않고 현장과 연구실을 오가며 성실히 문제점을 개선해나간 제자들이 ‘준텍’ 설립의 일등공신”이라며 자랑스러워했다. 회사 설립과정에 직접 참여한 이원찬 아진산업 총무이사도 “영남대와 지금까지 구축한 신뢰를 바탕으로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대학과 기업 모두 윈·윈하는 모델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1976년 설립된 아진산업(주)은 현대자동차 1차 협력업체인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 지난해에는 계열사인 (주)우신산업, AJIN USA와 함께 매출액 4,000억 원을 달성한 지역의 중견기업체다. 영남대는 2007년부터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는 해외현장실습협약을 체결해 매학기 5명내외의 학부생을 선발해 미국 앨라배마 주에 위치한 ‘AJIN USA'로 파견하는 등 지속적인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해오고 있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685
-
1학기 3억‧2학기 2억 등 총 5억원 대학발전기금 기탁 기계공학부에 ‘파워트레인연구소’ 설립, 산학협력 강화 약속 [2012-5-7] 한국파워트레인 주인식 대표이사(右)가 이효수 총장에게 발전기금을 기탁하고 있다. 한국파워트레인(주) 주인식 대표이사(62)가 영남대(총장 이효수)에 3억 원을 기탁했다. 아울러 올 하반기에 추가로 2억 원을 기탁해 영남대 기계공학부에 ‘파워트레인연구소’(가칭)를 설립하는 등 연내 총 5억 원을 영남대에 발전기금으로 기탁키로 했다. 지난 4일 주인식 한국파워트레인 대표이사는 본사(대구 달서구 호산동)를 방문한 이효수 영남대 총장에게 3억 원을 현장에서 기탁하는 등 총 5억 원의 발전기금 기탁을 약속했다. 이 자리에서 주 대표는 “영남대와 한국파워트레인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면서, 동시에 세계로 활동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닮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면서 “서로 힘을 합쳐 지역과 세계를 선도할 인재를 기르고 기술발전을 주도하는 상생의 파트너십을 만들어나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이효수 영남대 총장도 “‘글로컬 이니셔티브’(Glocal Initiative)가 바로 이런 것”이라고 화답하면서 “지역거점 대학과 기업이 손잡아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하는 성공모델을 보여주자”며 산학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로 감사를 대신했다. 주 대표이사는 1995년 한국파워트레인(주) 대표이사로 취임하면서 자동차변속기 시스템의 핵심 기능품인 토크컨버터를 개발, 국내 최초로 전문 생산기업을 설립한 주인공이다. 토크컨버터는 세계적으로 5개미만의 기업만이 기술을 보유한 고도의 기술집약적 제품이지만, 주 대표이사는 산학연 협력체계 및 디지털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해 100년 이상의 노하우를 보유한 해외 경쟁기업들을 압도할 수 있는 독보적 기술력을 10년 만에 확보해냈다. 이로써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토크컨버터의 수입대체에 성공, 국내 완성차의 성능 개발 및 한국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R&D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 10년간 총 34종의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했으며, 특허장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개념 특허 103건을 출원해 55건은 이미 특허 등록을 마쳤으며, 현재 48건은 심사 중이다. 특히 최근 개발한 6단 자동변속기용 토크컨버터에 ‘슬립록업’이라는 신기술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연비와 동력성능을 달성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전륜 9속 자동변속기용 토크컨버터를 개발해 자동변속기 기술의 원조인 독일 전문업체에 공급, 세계무대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는 기존사양 대비 10%의 연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신기술이다. 이러한 공로로 한국파워트레인은 신기술인증(NET) 및 신제품인증(NEP)을 획득했으며, 장영실상 2회 수상 기록을 세우며 중견기업의 저력을 입증했다. 산학협력에 있어서도 기여한 바가 크다. 한국파워트레인은 영남대와 지방기업 주문형 인력양성사업, 광역연계사업, 지역혁신인력 양성사업 등 활발한 산학협력을 통해 자동차 파워트레인 분야의 기술 발전 및 고급 인력 양성을 주도하고 있다. 그 결과 매년 3천억 원의 매출을 올려 누적생산액 1조 6천억 원, 수입대체효과 1조원을 달성해 ‘1억불 수출탑’을 수상했으며, 지역인재 채용우대로 450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했다. 그밖에도 ‘기술경영인상’, ‘상생협력기술개발대상’, ‘노사화합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복지센터지원, 학비지원, 봉사활동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솔선수범하고 있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454
-
WCU나노사업단, 월평균 SCI 논문 2.3편 저명국제저널 발표, 절반이 Top10 저널 교육과학기술부 평가 ‘2년 연속 A’ 세포융합 활용한 나노패터닝 신기술, 美․中․韓 동시 특허 출원 [2011-12-1] `나노`(Nano)라는 낱말이 어느덧 일상 속에서도 흔히 쓰이는 단어가 되었다. 의약품, 화장품, 반도체 등 다양한 형태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침투해있으며, 식품업계에도 식품가공 및 포장재에 나노기술을 활용한 제품들이 다수 선보이는 등 실생활에 나노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곳이 거의 없을 정도다. ‘난쟁이’를 뜻하는 그리스어 ‘나노스’(nanos)에서 유래한 나노기술은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정도인 원자나 분자크기 수준(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의 초미세 물질을 다루는 첨단기술이다. 그만큼 높은 기술 집약도가 필요한 분야로, 최근에는 나노생체분석, 나노바이오센서, 나노생체재료, 생체나노머신 등 생명기술(BT) 분야에서의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처럼 나노기술이 정보과학기술, 생명공학기술과 함께 21세기 ‘3대 과학기술’로 손꼽히며 기술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과학기술부 ‘WCU(World Class University)사업’을 수행 중인 ‘영남대 WCU나노사업단’(단장 주상우, 기계공학부, 이하 ‘나노사업단’)이 그야말로 ‘월드클래스’(World-Class) 다운 연구실적을 내놓으며 이름값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실적평가에서 지난해 이어 2년 연속으로 A등급 평가를 받은 것이다. 영남대 WCU나노사업단 연구진(가운데가 주상우 단장) 사업단은 2009년 9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했다. 2013년 8월말까지 국비 35억 원을 지원받는 사업단은 나노기술 관련 기초연구 및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을 수행 중이다. 사업단의 궁극적 목표는 나노패터닝(nano-patterning) 분야에서 세계 최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상용화 되도록 하는 것. 2015년 1조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 나노시장에서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을 선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특히 최근에는 전기적 자극을 활용한 세포융합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고효율의 세포전기융합 마이크로디바이스(Cell Electrofusion Microdevice)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3가지 유형의 나노패터닝 기술을 새로 개발해 현재 미국과 중국, 한국에서 동시에 특허출원 중이다. 이 신기술을 적용한 디바이스의 가장 큰 특징은 ‘아주 낮은 전압’(low voltage)만으로도 ‘단 10분 만에’(quickness) 세포융합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는 것. 실험대상이 된 세포에 가해지는 전기충격이 매우 약하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포손상은 최소화되며 원하는 결과를 얻을 확률도 더 높아졌다. 게다가 생산단가도 낮아졌고, 휴대용 크기로 제작돼 공간차지도 거의 하지 않는다. 그만큼 상용화 가능성도 커진 것이다. 나노사업단은 신기술이 적용된 디바이스를 현재 중국 충칭대(重慶大)병원과 임상실험 중이며, 향후 유전자치료, 항암백신개발, 면역체연구 등 의학적 목적의 세포융합은 물론 동․식물의 특징을 한 몸에 지닌 새로운 종(種)의 개발 등 유전공학 발달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밖에도 생명공학, 면역학, 약학, 식품가공학, 농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돼 획기적 진보를 낳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나노사업단이 낳은 연구 성과들 역시 세계수준급이다. 2009년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24개월 동안 영남대 나노사업단이 발표한 SCI 논문은 총 54편, 월평균 2.3편의 논문이 영남대 나노사업단의 이름을 내걸고 SCI 저널에 게재됐다. 현재 심사 중인 논문도 15편이다. 특히 3차 사업평가기간(2010.10.01~2011.08.31)에 발표된 SCI 논문은 총 28편으로, 그 중 절반인 14편이 ≪SoftMatter≫,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Polymer≫, ≪Electrophoresis≫, ≪Nanotechnology≫ 등 상위 10%의 Top 저널에 실렸다. 이러한 성과는 나노사업단 참여교수들의 국경도 없고 휴일도 반납한 연구열정 덕분에 가능했다. 현재 참여교수는 단장인 주상우 교수(52, 기계공학부)를 비롯해 ‘인도판MIT’로 불리는 인도국립기술원(IIT) 석좌교수이자 나노패터닝(nato-patterning)분야 세계 5대 석학으로 손꼽히는 아슈토쉬샤르마 교수(Ashutosh Sharma, 50)와 스즈첸 교수(Shizi Qian, 40) 등 선발주자 3명, 그리고 지난해 4월 합류한 바너지나라얀 교수(Banerjee A. Narayan, 36)와 린수 교수(Lin Xu, 31)까지 총 5명. 이들은 WCU사업 선정 이후 휴일이라고 제대로 쉬어본 적이 없다. 함께 밥을 먹을 때도 늘 각자의 연구현황에 대한 점검, 세계적 수준과 비교한 자체 평가 등이 밑반찬으로 올랐다. 새벽 두 세 시까지 이메일로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 것은 물론 참여교수 중 가장 어린 린 수 교수는 심지어 연구실에 이불과 버너를 가져다놓고 먹고 자고 하면서 연구에 매달렸을 정도였다. 그 결과 공동연구논문을 포함할 때 단장인 주 교수가 무려 36편의 SCI 논문을 이미 발표했으며 12편을 제출해 심사 중인 것을 비롯해 첸 교수 32편 발표․2편 심사 중, 샤르마 교수 21편 발표․7편 심사 중 등 엄청난 성과를 낳고 있다. 통상 SCI논문 투고에서 심사, 게재에 이르기까지 약 6개월의 물리적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나노사업단의 실적은 가히 ‘세계 최고’(World Best)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주상우 단장은 “나노기술 분야 선진국으로 손꼽히는 미국과 중국, 일본, 유럽의 대학들도 1년에 SCI 논문 10여 편 발표가 어렵다”면서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고 개별 연구실적 달성도를 설정한 뒤 공동의 목표를 향한 단합된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 2022년 11월 21일 (월)
- 기계공학부
- 593